설날이
언제부터 우리 민족의 최대 명절로 여겨지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그러나 설날을
명절로 삼기 위해서는 우선 역법(曆法)이 제정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설날의 유래는 역법의 제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 나라가 나름대로의
역법을 가지고 있었음은 중국인들도
진작 인정하고 있었다.
《삼국지 (三國志)》에 이미
부여족이 역법을 사용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고, 신라 문무왕 대에는
중국에서 역술을 익혀와 조력(造曆)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를 미루어 보더라도
우리 민족은 단순한 중국 역법의 모방이 아니라 자생적인 민속력이나
자연력을 가졌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짐작할 수 있다.
또 신라의 독자적인
명절이라 할 수 있는 가위[嘉俳]나 수릿날의 풍속이 있었다는
사실에서도 우리 민족이 고유한 역법을 가졌을 가능성을
충분히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현단계에서는
중국 전래의 태양태음력이나 간지법(干支法) 이외에
우리 고유의 역법 제정에 관한 기록을
찾을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설날은
적어도 6세기 이전에 중국에서 태양태음력을 받아들인
이후 태양력을 기준으로 제정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역사적인 기록을 통해서도
설날의 유래를 추측해 볼 수 있다.
《수서(隨書)》를 비롯한
중국의 사서들에는 신라인들이 원일(元日)의 아침에
서로 하례하며 왕이 잔치를 베풀어 군신을 모아 회연하고,
이날 일월신을 배례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삼국사기(三國史記)》〈제사〉편에는
백제 고이왕 5년(238) 정월에 천지신명께 제사를 지냈으며,
책계왕 2년(287) 정월에는 시조 동명왕 사당에
배알하였다고 한다.
이때의 정월 제사가
오늘날의 설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으나 이미 이때부터 정월에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것으로 보아 오늘날의 설날과의 유사성을
짐작할 수 있다.
신라에서는
제36대 혜공왕(765∼780) 때에
오묘(五廟:태종왕, 문무왕, 미추왕, 혜공왕의 조부와 부)를
제정하고 1년에 6회씩 성대하고도 깨끗한 제사를 지냈다고 하는데,
정월 2일과 정월 5일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것으로 보아 이미
설날의 풍속이 형성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설과 정월 대보름·삼짇날·팔관회·한식·단오·추석·중구·동지를
9대 명절로 삼았으며, 조선시대에는 설날과 한식·단오·추석을 4대 명절이라
하였으니, 이미 이 시대에는 설이 오늘날과 같이 우리 민족의
중요한 명절로 확고히 자리잡았음을
알 수 있다.

설날의 풍속
|
설날의 세시풍속으로는
차례, 세배, 설빔, 덕담, 문안비, 설그림, 복조리 걸기, 야광귀 쫓기,
청참, 윷놀이, 널뛰기, 머리카락 태우기 등 그 종류가
상당히 다양하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몇 가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

설날 차례
|
정월 초하룻날 아침 일찍이
각 가정에서는 대청마루나 큰방에서 제사를 지내는데, 제상 뒤에는
병풍을 둘러치고 제상에는 설음식[歲饌]을
갖추어 놓는다.
조상의 신주(神主), 곧 지 방(紙榜)은
병풍에 붙이거나 위패일 경우에는 제상 위에 세워 놓고
차례를 지낸다.
차례상을 차리는 방법은
가가례(家家禮)라 하여 지방이나 가문에 따라 다른데,
대체로 차례상 앞 첫째 줄에는
과일을 놓는다.
이 때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둘째 줄에는
채(菜)나 나물류 를 놓는데, 포(脯)는 왼편에 식혜는 오른편에 놓고,
또 마른 것은 왼편에 젖은 것은 오른편에 놓으며, 나물류인
김치·청장(淸漿)·숙채(熟菜)는
가운데에 놓는다.
세째 줄에는
탕(湯)을 놓는데, 다섯 가지 맛을 갖춘 탕으로
단탕(單湯)·삼탕(三湯)·오탕(五湯)·칠탕(七湯) 등이라 하여 어탕 (魚湯)은
동쪽에 육탕(肉湯)은 서쪽에 소탕(蔬湯)은
가운데에 놓는다.
네째 줄에는
적(炙:불에 굽 거나 찐 것)과 전(煎:기름에 튀긴 것)을 벌여 놓는데,
어류는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
이 때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한다.
다섯째 줄에는
밥과 국을 놓는데, 밥 은 왼쪽에, 국은 오른쪽에, 또 떡은
오른쪽에 면(麵)은 왼쪽에 놓는다.
| |